본문 바로가기
정보

사자성어, 고사성어 모음 100선

by 꿀팁박스 2024. 11. 17.
 

여러분, 최근 들어 사자성어나 고사성어를 사용해 본 적 있으신가요? 2024년 한 조사에 따르면, MZ세대의 80%가 일상 대화나 SNS에서 사자성어를 한 달에 1-2번 이상 사용한다고 합니다. 놀랍지 않나요? 오늘은 우리 일상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사자성어와 고사성어 100선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

 

 

사자성어와 고사성어의 차이

먼저 사자성어와 고사성어의 차이점부터 알아볼까요?

사자성어(四字成語)

  •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 숙어
  • 간결하면서도 깊은 의미를 담고 있음
  • 예: 일석이조(一石二鳥), 동분서주(東奔西走)

고사성어(故事成語)

  • 옛 이야기에서 유래한 관용구
  • 대부분 사자성어 형태를 띠지만, 반드시 네 글자일 필요는 없음
  • 예: 고진감래(苦盡甘來), 새옹지마(塞翁之馬)

즉, 모든 고사성어는 사자성어가 될 수 있지만, 모든 사자성어가 고사성어인 것은 아닙니다.

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 50선

  1. 가렴주구(苛斂誅求):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임
  2. 각주구검(刻舟求劍): 융통성 없는 어리석은 행동
  3. 갑론을박(甲論乙駁): 서로 자기 주장만 내세움
  4. 견물생심(見物生心):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김
  5. 결초보은(結草報恩):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
  6. 고진감래(苦盡甘來): 고생 끝에 낙이 옴
  7. 과유불급(過猶不及):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함
  8. 구사일생(九死一生):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고 살아남
  9. 군계일학(群鷄一鶴): 평범한 사람들 중의 뛰어난 인물
  10. 금상첨화(錦上添花): 좋은 일에 좋은 일이 더해짐
  11. 금의환향(錦衣還鄕):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옴
  12. 기고만장(氣高萬丈): 득의양양하여 우쭐댐
  13. 다다익선(多多益善): 많으면 많을수록 좋음
  14. 동고동락(同苦同樂):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 함
  15. 동문서답(東問西答): 질문과 대답이 맞지 않음
  16. 동병상련(同病相憐): 같은 처지의 사람끼리 서로 동정함
  17. 동분서주(東奔西走): 이리저리 바쁘게 돌아다님
  18. 막상막하(莫上莫下):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
  19. 맹모삼천(孟母三遷): 자녀 교육을 위해 환경을 바꿈
  20. 명불허전(名不虛傳): 명성이 헛되지 않음
  21. 무위도식(無爲徒食): 하는 일 없이 놀고먹음
  22. 문전성시(門前成市): 찾아오는 사람이 매우 많음
  23. 반신반의(半信半疑): 반쯤 믿고 반쯤 의심함
  24. 백년해로(百年偕老): 부부가 백년을 함께 살음
  25. 백발백중(百發百中): 백 번 쏘아 백 번 다 맞힘
  26. 부화뇌동(附和雷同): 자신의 의견 없이 남을 따라함
  27. 사면초가(四面楚歌): 사방이 적에게 둘러싸인 상황
  28. 사상누각(砂上樓閣): 모래 위에 지은 집처럼 기초가 튼튼하지 못함
  29. 삼고초려(三顧草廬): 인재를 간절히 구함
  30. 새옹지마(塞翁之馬): 복과 화는 바뀌어 일어남
  31. 설상가상(雪上加霜): 어려운 일이 겹침
  32. 소탐대실(小貪大失): 작은 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음
  33. 수구초심(首丘初心): 고향을 그리워함
  34. 십시일반(十匙一飯): 여러 사람이 힘을 합침
  35. 아전인수(我田引水): 자기에게 유리하게 해석함
  36. 안분지족(安分知足): 분수를 지키고 만족할 줄 앎
  37. 어부지리(漁父之利): 두 사람이 다툴 때 제삼자가 이익을 얻음
  38. 역지사지(易地思之):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함
  39. 오십보백보(五十步百步): 차이가 없음
  40. 와신상담(臥薪嘗膽): 원수를 갚거나 큰일을 이루기 위해 괴로움을 참음
  41. 용두사미(龍頭蛇尾): 시작은 좋으나 끝이 시원치 않음
  42. 우공이산(愚公移山): 어려운 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
  43. 우문현답(愚問賢答):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대답
  44. 우후죽순(雨後竹筍): 비온 뒤 죽순처럼 많이 생겨남
  45. 일거양득(一擧兩得):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
  46. 일석이조(一石二鳥):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
  47. 자업자득(自業自得): 자신의 행동의 결과는 자신이 책임져야 함
  48. 적반하장(賊反荷杖):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침
  49. 전화위복(轉禍爲福): 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
  50. 청출어람(靑出於藍):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남

역사와 문화가 담긴 고사성어 50선

  1. 각자무치(刻舟求劍):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생각
  2. 감탄고토(甘呑苦吐):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,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함
  3. 개과천선(改過遷善): 잘못을 고치고 선한 길로 나아감
  4. 결초보은(結草報恩):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
  5. 고식지계(姑息之計): 당장의 편안함만을 꾀하는 계책
  6. 공명정대(公明正大): 공평하고 바르며 떳떳함
  7. 괄목상대(刮目相對): 눈을 비비고 다시 봄. 크게 발전한 모습에 놀람
  8. 군자불치(君子不恥): 군자는 부끄러워하지 않음
  9. 금과옥조(金科玉條): 금으로 새기고 옥으로 만든 조문이라는 뜻으로, 절대적인 규칙
  10. 금시초문(今時初聞): 지금 처음 들어봄
  11. 기사회생(起死回生): 거의 죽었다가 다시 살아남
  12. 내우외환(內憂外患): 안팎으로 걱정거리가 있음
  13. 노심초사(勞心焦思):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
  14. 다다익선(多多益善): 많으면 많을수록 좋음
  15. 대기만성(大器晩成):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짐
  16. 동문서답(東問西答): 묻는 말에 대해 엉뚱한 대답을 함
  17. 망양지탄(亡羊之歎): 양을 잃은 탄식이라는 뜻으로,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어느 것을 따라야 할지 모르는 상황
  18. 면종복배(面從腹背): 겉으로는 따르는 체하고 속으로는 배반함
  19. 목불식정(目不識丁): 아주 무식함을 이르는 말
  20. 백년대계(百年大計): 먼 앞날을 내다보고 세우는 큰 계획
  21. 백척간두(百尺竿頭): 백 자 높이의 장대 끝이라는 뜻으로,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지경
  22. 부화뇌동(附和雷同): 자기 의견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
  23. 사필귀정(事必歸正):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길로 돌아감
  24. 사즉생 생즉사(死卽生 生卽死): 죽음을 각오하면 살고, 살려고만 하면 죽는다는 뜻
  25. 삼고초려(三顧草廬): 현명한 인재를 간절히 초빙함
  26. 새옹지마(塞翁之馬):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어려움
  27. 설상가상(雪上加霜): 눈 위에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, 불행이 겹침
  28. 소탐대실(小貪大失):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
  29. 수주대토(守株待兎): 나무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, 요행을 바라는 어리석은 행동
  30. 십년고도(十年苦讀): 십 년 동안 꾸준히 공부함
  31. 아전인수(我田引水):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, 자기에게 유리하게 해석함
  32. 안빈낙도(安貧樂道): 가난한 대로 편안히 지내며 도를 즐김
  33. 어부지리(漁父之利): 두 사람이 다툴 때 제삼자가 이익을 얻음
  34. 역지사지(易地思之): 처지를 바꾸어 생각해 봄
  35. 오십보백보(五十步百步):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
  36. 와신상담(臥薪嘗膽): 원수를 갚거나 큰일을 이루기 위해 온갖 고생을 참고 견딤
  37. 우공이산(愚公移山):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, 끊임없는 노력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이룸
  38. 우문현답(愚問賢答):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대답
  39. 우후죽순(雨後竹筍): 비 온 뒤에 죽순이 돋아나듯 많이 생겨남
  40. 유비무환(有備無患): 미리 준비하면 걱정이 없음
  41. 일거양득(一擧兩得):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
  42. 일석이조(一石二鳥):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
  43. 자강불식(自强不息): 스스로 힘써 쉬지 않고 노력함
  44. 자업자득(自業自得): 자신의 행위의 결과는자신이 책임져야 함
  45. 적반하장(賊反荷杖):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,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침
  46. 전화위복(轉禍爲福): 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
  47. 정저지와(井底之蛙):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, 식견이 좁은 사람을 비유
  48. 주경야독(晝耕夜讀):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음
  49. 중구난방(衆口難防): 여러 사람의 말을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, 뜻이 제각각임
  50. 타산지석(他山之石): 다른 산의 돌이라는 뜻으로, 남의 언행을 거울삼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닦음

 

마치며

지금까지 100개의 사자성어와 고사성어를 살펴보았습니다. 이 짧은 표현들 속에는 수천 년의 지혜와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.

 

여러분도 오늘부터 일상에서 사자성어와 고사성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해보세요. 어려워 보이지만, 막상 사용해보면 의외로 쉽고 재미있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.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의 언어생활이 더욱 풍성해지고, 동시에 선조들의 지혜를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.


"학이시습(學而時習)하면 불역열호(不亦說乎)"라고 했죠?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! 여러분의 사자성어 학습이 즐거운 여정이 되기를 바랍니다.